среда, 15 сентября 2010 г.

고사성어-китайский фразеологизм

가가호호(家家戶戶):집집마다
가담항설(街談巷說):길거리나 항간에 떠도는 소문
각골난망(刻骨難忘):남의 은덕을 뼈에 새기어 잊지 않음.
간과(干戈):방패와 창. 즉, 전쟁을 가리킴.
감개무량(感慨無量):지나간 것에 대해 느끼는 회포가 한량없이 깊고 큼.
감언이설(甘言利說):남의 비위를 맞추어 꾀어내는 말.
개별방문(個別訪問):한 사람씩 찾아가 뵘.
거두절미(去頭截尾):머리와 꼬리는 버린다는 말.
건국이념(建國理念):나라를 세운 큰 목표.
결사반대(決死反對):죽음을 걸고 반대함.
결초보은(結草報恩):죽어서까지라도 은혜를 잊지 않고 갚음.
계륵(鷄肋):닭의 갈비는 매우 작고 고기도 적어서 먹을 것이 없으나 그렇다고 버리기도 아깝다.
고금동서(古今東西):옛날, 지금, 동양과 서양, 때와 지역을 일컫는 말.
고도성장(高度成長):높을 정도로 자람.
고진감래(苦盡甘來):고생 끝에 즐거움이 옴.
고희(古稀):두보의 시에서 나온말로 칠십세를 말함.
공동생활(共同生活):여러 사람이 서로 협력하여 사는 사회생활.
공동선언(共同宣言):둘 이상이 공동으로 발표하는 선언.
공산주의(共産主義):재산 및 생산기관의 사유를 부인하고 자본주의의 붕괴, 계급투쟁, 사회혁명을 주장하는 주의.
공생공사(共生共死):함께 살고 함께 죽음.
공중누각(空中樓閣):공중에 나타나는 누각. 근거가 없고 곧 변하는 사물을 가리키는 말.
괄목상대(刮目相對):눈을 부비어 닦고 자상하게 보다. 즉 사람의 덕업이 현저하게 진보하였음을 말함.
광명시대(光明時代):문물과 도의가 일어 태평한 시대.
괴담이설(怪談異說):괴이한 이야기.
괴뢰정부(傀儡政府):남의 나라의 지령을 받고 아무런 실권이 없이 인형적 구실을 하는 정부.
교권남용(敎權濫用):스승으로서의 권위를 함부로 씀.
교두결미(交頭結尾):한쪽 끝이 한쪽의 머리에 이어져 순환되는 것.
교육이념(敎育理念):교육이 지향하는 목표.
구절양장(九折羊腸):아홉 번 꺾어진 양의 창자. 산세가 험하거나, 세상이 복잡하여 살아가기 어렵다는 뜻.
구태의연(舊態依然):옛 모양 그대로임.
극력주선(極力周旋):있는 힘을 다하여 주선함.
극소감각(極小感覺):의식할 수 있는 가장 작은 감각.
근검저축(勤儉貯蓄):부지런하고 알뜰하여 재물을 모음.
금난지계(금난지계):붕우(朋友)의 교정(交情)이 깊음.
금수강산(錦繡江山):비단에 수놓은 듯이 아름다운 땅.
금슬(琴瑟):거문고와 비파처럼 그 소리가 서로 조화로운 것을 칭함. 즉 부부간을 말함. 금슬지락(琴瑟之樂)과 같은 고사성어
금시초문(今時初聞):이제야 처음 들음.
금의환향(錦衣還鄕):타향에 가서 성공하여 훌륭하게 된 몸으로 고향에 돌아온다는 뜻.
기상천외(奇想天外):상식 밖의 일. 매우 엉뚱한 생각.
기승전결(起承轉結):한시(漢時)에서 구(句)의 배열 방법.
기왕지사(旣往之事):이미 지난 일은 어찌할 도리가 없고, 오직 앞으로의 일이나 삼가야 함을 이름.
남가일몽 (南柯一夢): '순우분'이 술에 취하여 울안에서 잠을 잤는데, 그때 괴안국왕이 그를 불러다가 남가군을 다스리게 하였다. 이에 이십년을 다스리며 영화를 누렸는데 깨서 보니 꿈이었다는 고사. 인생의 부귀와 영화가 다 꿈과 같다는 것.
남부여대(男負女戴):남자는 지고 여자는 이고 감. 곧 가난한 사람이 이리저리 떠돌아 다니면서 삶.
내외(內外)정세:나라 안팎의 움직임이나 형편.
노발대발(怒發大發):몹시 성을 냄.
노심초사(勞心焦思):마음으로 애를 쓰며 속을 태움.
누란지위(累卵之危):매우 위태로운 상태.
능지처참(陵遲處斬):머리, 몸, 손, 발을 토막치던 극형.
다수(多數)가결:찬성이 많은 쪽으로 결정함.
다재다능(多才多能):재주도 많고 능력도 많음.
다정다감(多情多感):인정이 많고 느낌도 많음.
단금지교:사귀는 정이 매우 깊은 벗.
당면(當面)문제:눈 앞에 직접 당한 문제.
대경실색(大驚失色):너무나 놀라 얼굴색이 질림.
대기만성(大器晩成):대재(大才)는 조숙하지 않고 늦게 대성한다. 따라서 큰 일은 조급히 해서는 안된다 뜻.
대대손손(代代孫孫):대대로 내려오는 자손.
대동단결(大同團結):크게 한 가지로 단결함.
대동소이(大同小異):대체로 갈고 조금 다름.
대서특필(大書特筆):아주 크게 써서 표시함.
대성통곡(大聲痛哭):큰 목소리로 아주 슬프게 움.
대의명분(大義名分):사람이 지켜야 할 절의와 분수.
대천지주:이 세상에 같이 있을 수 없는 원수.
도로(徒勞)무공:힘을 써도 공이 없이 헛수고만 한다는 말.
독불장군(獨不將軍):사람들이 따돌린 외로운 사람.
독립(獨立)쟁취:나라의 독립을 싸워서 차지함.
독서삼도(讀書三到):독서하는데 눈으로 보고, 입으로 읽고, 마음으로 해득해야 된다는 뜻.(안도, 구도, 심도)
동명이인(同名異人):이름이 같으나 사람이 다름.
동문서답(東問西答):물음에 대하여 엉뚱한 대답을 함.
동분서주(東奔西走):부산하게 이리저리 돌아다님.
동주상구:서로 알거나 모르거나 미워하거나 아니거나 위급한 경우를 함께 만났을 때는 서로 도와주게 된다는 말.
두문불출(杜門不出):집에만 있고 세상에 나가지 아니함.
등룡문:용문은 황야의 상류에 있는 급류로서 잉어가 이에 오르기만하면 용이 된다는 것. 따라서 사람이 출세할 수 있는 지위에 오름을 말함.
만사태평(萬事太平):모든 일이 잘 되어서 어려움이 없음.
만사형통(萬事亨通):모든일이 순탄하게 잘됨.
만수무강(萬壽無疆):수명이 한 없이 길게 오래 산다는 뜻.
만신창이(滿身瘡痍):온몸이 흠집 투성이가 됨.
망망대해(茫茫大海):한없이 넓고 큰 바다.
명명백백(明明白白):아주 명백함.
매사(每事)불성:일마다 실패함.
무상무벌:벌 받을 것이 없으면 상 받을 것도 없다.
무상출입(無常出入):아무데나 언제나 마음대로 드나듦.
무위도식(無爲徒食):아무하는 일 없이 오직 먹고 놀기만 함.
무위(無爲)무탁:몸을 위탁할 곳이 없음.
문방사우(文房四友):종이, 붓, 먹 벼루의 네가지.
문일지십:한가지를 듣고 열가지를 알아차린다는 뜻.
미래(未來)지사:앞으로 닥쳐올 일.
미망인(未亡人):옛날의 윤리관으로는 남편이 죽으면 따라서 죽는 것이 옳지만 죽지 못하고 세상에 남아 있다는 뜻에서 과부를 말함.
미사여구(美辭麗句):아름다운 말과 고운 글귀.
미소(微小)망상:자기 자신을 과소평가하는 망상.
박장대소(拍掌大笑):손뼉을 치며 크게 웃음.
반신반의(半信半疑):반은 믿고 반은 의심함.
반포:아들이 커서 부모를 봉양함을 말함.
배은망덕(背恩忘德):남한테 입은 은덕을 잊어서 저버림.
백년해로(百年偕老):의 좋은 부부가 함께 늙음.
백문불여일견:백 번 듣는것이 한번 직접 보는 것만 못함.
백미(白眉):많은 것 중에서 가장 뛰어난 것. 촉의 마씨의 다섯형제 중 장형인 마량이 제일 영리했는데, 마량의 눈썹에 흰 털이 섞여있었다 함.
백배사례:수없이 절을하며 고맙다고 치사함.
백수건달(白手乾達):손에 아무것도 없는 멀쩡한 사람.
백의민족(白衣民族):희옷을 입는 민족.
백의천사(白衣天使):간호사를 아름답게 일컫는 말.
백팔번뇌(百八煩惱):불교용어로 인간의 과거, 현재, 미래에 걸친 108가지 번뇌를 말함.
부부(夫婦)자자:아버지는 아버지답게 아들은 아들답게 행동함. 서로 본분을 지킴.
부국강병(富國强兵):나라는 부하게, 군사는 강하게 함.
부자(父子)자효:아비된 자는 자애를 주로 하며, 자식된 자는 효행을 주로 함.
부창부수(夫唱婦隨):남편의 주장에 아내가 따라감. 집안이 서로 화합하는 것을 말함.
분골쇄신(粉骨碎身):죽을 힘을 다하여 애씀.
불가사의(不可思議):사람의 생각으로는 알 수 없는 이상야릇함.
불가항력(不可抗力):사람의 힘으로는 어찌할 수 없는 것.
비몽사몽(非夢似夢):꿈인지 아닌지 어렴풋한 상태.
비분강개(悲憤慷慨):슬프고 분하여 마음이 복받혀 한탄함.
사고무친(四顧無親):의지할데가 도무지 없음.
사과반:깊이 생각하면 자연히 절반은 알게 됨.
사군자탕:인삼, 백출, 백봉령, 감초의 네 가지를 각각 한 돈중씩 종합하여 원기와 소화를 돕는 데에 쓰는 탕약.
사생결단(死生決斷):죽음을 각오하고 대들어 끝장냄.
사서오경(四書五經):논어, 맹자, 중용, 대학과 시경, 주역, 예기, 춘추(삼경:시경, 서경, 주역)
사이비(似而非):외면은 근사하고 내용은 그 반대인 것.
사족 (蛇足): '뱀의 발'로서 쓸데없는 것을 뜻함.
사팔귀정:무슨 일이든지 결국은 올바른 이치대로 되고 맘.
산자수명(山紫水明):산색이 아름답고 물이 맑음.
삼간초가:규모가 작은 집.
삼라만상(森羅萬象):우주의 온갖 사물과 모든 현상.
삼천지교(三遷之敎):세 번 옮기는 가르침. 맹자의 어머니께서 맹자의 교육을 위하여 세 번이나 주거를 옮겼다 함.
상아탑(象牙塔):학자들이 조용히 들어 앉아 연구에 몰두하는 연구실.
상전벽해(桑田碧海):세상이 덧없이 변천하여 사물이 온통 바뀌어 버림.
새옹지마(塞翁之馬):새옹의 말로써 인생의 길흉화복, 행복과 불행은 서로 인과관계가 있어서 행복은 불행의 원인이 되고, 불행은 행복의 원인이 되는 것이니, 행복과 불행을 예측하거나 속단할 수 없다는 말.
생노병사:낳음과 늙음.
생의활동:산 것과 같이 그림이 교묘함을 찬미한 말.
생존경쟁(生存競爭):생물이 살기위해서 서로 경쟁하는 것.
설상가상(雪上加霜):눈위에 서리라는 뜻. 즉 불행에 불행이 겹침.
섬섬옥수(纖纖玉手):가냘프고 고운 여자의 손.
속수무책(束手無策):어찌할 방책이 없어 꼼짝 못하게 됨.
손자삼락:인생 삼락중 분에 넘치게 즐겨하고, 한가함을 즐겨하며, 주색을 즐겨함은 세 가지 손해라는 말.
수수방관(袖手傍觀):조금도 도와 주지 않고 그냥 옆에서 보고만 있음.
수신제가(修身齊家):자기 몸을 닦고 집안을 다스림.
수어지교:물과 고기가 떨어질 수 없듯이 아주 떨어질 수 없는 친밀한 사이를 말함.
숙불환생:이미 익힌 것을 다시 생생한 것으로 되돌릴 수 없음. 즉 이왕 마련한 음식이면 먹어치우자고 할 때 하는 말.
순결(純潔)무구:마음과 몸가짐이 깨끗하여 조금도 더러운 티가 없음.
승승장구(乘勝長驅):거리낌없이 이겨 나아감.
신신당부(申申當付):몇 번이고 거듭 간절하게 하는 부탁.
신진대사(新陳代謝):생물을 유지하기 위하여 생물체가 필요한 것을 섭취하고 불필요한 것을 배설하는 현상.
신출귀몰(神出鬼沒):귀신처럼 빠르고 자유자재로 나타나고 사라짐.
아비규환(阿鼻叫喚):아비지옥의 고통을 못참아 울부짖는 소리.
아전인수(我田引水):내 논에 물을 끌어 들인다는 뜻. 즉 자기의 이익대로만 함.
안빈(安貧)락도:가난한 처지에서도 편안한 마음으로 도를 지키며 즐긴다는 뜻.
애지중지(愛之重之):매우 사랑하고 귀중히 여김.
약방(藥房)감초:한약의 첩약에 대부분 들어가는 감초처럼 무슨 일에나 참견하고 꼭 쓰임을 이르는 말.
양산군자:도둑을 말함. 후한의 진식이 밤에 자기집에 도적이 든 것을 알고 훈계하기를 '사람은 본래 악인이 없다. 양상군자도 스스로 힘쓰면 좋은 사람이 된다.'고 하였더니 도둑이 듣고 나와서 사과하고 천선했다는 고사.
양양대해:한없이 넓고 큰 바다.
어부지리(漁父之利):둘이 서로 다툼으로써 이권을 남에게 뺏기다. 도요새와 금조개가 서로 싸우고 있으므로 어부가 그 둘을 함께 잡았다는 우화.
어언무미:독서하지 않는 사람은 언어에도 맛이 없다는 말.
언문일치(言文一致):실제로 쓰는 말과 글이 꼭 같음.
언어도단(言語道斷):말문이 막혔다는 뜻. 즉 너무 어이 없어서 말하려해도 말할 수 없음.
언중유언:예사로운 말속에 또 다른 말이 있음.
여중호걸:여자 중에도 호탕하고 협기가 있는 사람.
염라대왕(閻羅大王):지옥에서 살며 열 여덟 신하와 팔만명 옥졸을 거느리고, 죽어서 지옥에 떨어지는 인간이 생전에 행한 선악을 심판하여 징벌을 한다고 하는 대왕.
영세불망:길이길이 잊지 않음.
오비이락(烏飛梨落):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 즉 남에게 협의를 받기 쉬움을 가리키는 말.
온고이지신:옛 것을 연구하여 잘 익히고 나서 새로운 지식을 섭취하고 발명함.
외유내강(外柔內剛):겉은 부드러운듯하나 속은 곧고 굳음.
욕구불만(欲求不滿):욕심껏 구하는 마음을 채우지 못함.
용두사미(龍頭蛇尾):머리는 용이요 꼬리는 뱀이라는 말. 즉 처음은 굉장하나 끝이 흐지부지하고 좋지 않음.
용반호거:지세가 험준하여 적을 막기 좋은 목을 이룸.
우의소설(寓意小說):다른 사물에 붙여서 은연중 어떤 의미를 풍자함.
우의독경:소 귀에 경 읽기. 가르치고 일러 주어도 알아 듣지 못함.
원앙(鴛鴦)지계:원앙새는 암수가 서로 떨어지지 않고 지내는 새이니 부부가 서로 화락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원화소복:화를 멀리하고 복을 부른다는 뜻.
위풍당당(威風堂堂):행동에 기세가 있고 품위가 있음.
유구무언(有口無言):변명할 말이 없음.
유구불언:할 말이 있으나 사정이 거북하거나 따분하여 말을 하지 않음.
유령시종:오직 명령대로만 따름.
유리걸식:고향을 떠나 정처없이 떠돌아 다니는 일.
유명무실(有名無實):이름 뿐이고 실속이 없음.
유방백세(流芳百世):꽃다운 이름을 후세에 길이 남긴다는 말.
유비무환(有備無患):미리 대비하면 후환이 없다.
유신(維新):만사를 다 새로 고친다.
유언비어(流言蜚語):근거없는 선동적인 선전, 헛소문.
유유상종(類類相從):동료끼리 서로 내왕하며 사귐.
유일무이(唯一無二):오직 하나뿐이고 둘은 없음.
유해무익:해는 있어도 이익은 없음.
의기소침(意氣銷沈):의기가 쇠하여 사그러짐.
이기주의(利己主義):제 이익만 차려 멋대로 행동하는 일.
이목구비(耳目口鼻):귀, 눈, 입, 코.
이율배반(二律背反):서로 모순되는 것이 어떤 사건속에 주장되는 일.
이중인격(二重人格):앞뒤가 모순되는 행동을 하는 병적인 인격.
일구난설:한 말로 다 설명하기 어려움.
일구이언(一口二言):한 입으로 두가지 말을 함.
일심동체(一心同體):한마음과 한몸.
일장춘몽(一場春夢):한바탕의 봄꿈처럼 헛된 부귀 영화.
일조일석(一朝一夕):하루 아침이나 하루 저녁과 같은 짧은 시일.
일진일퇴(一進一退):나아갔다 물러갔다 함.
일치단결(一致團結):여럿이 하나가 되어 결합함.
일확천금(一攫千金):단번에 거액의 재물을 얻음.
임기응변(臨機應變):그때그때의 사정에 따라 알맞게 처리함.
임시변통(臨時變通):갑자기 생긴 일을 우선 대강 잠시 처리함.
입신양명(立身揚名):출세하여 세상에 이름을 드날림.
자가당착(自家撞着):자기 스스로 하는 말이나 일이 모순이 많아서 전후가 이치에 맞지 아니함.
자격지심(自激之心):자기가 한 일에 대하여 자기 스스로 미흡하게 여기는 마음.
자급자족(自給自足):자기의 수요를 자기가 생산하여 충당함.
자문자답(自問自答):저 혼자서 묻고 제가 대답함.
자수성가(自手成家):물려받은 재산없이 재산을 모으며 살아감.
자승자박(自繩自縛):자기의 줄로 자기를 묶다. 자기가 자기를 망치게 하는 것. 자업자득과 뜻이 같음.
자업자득(自業自得):제가 저지른 일의 과오를 자신이 받음.
자연도태(自然淘汰):자연적으로 환경에 맞는 것은 남게 되고 그렇지 못한 것은 없어짐.
자유자재(自由自在):제 마음대로 할 수 있음.
자자손손(子子孫孫):자손의 여러대를 말함.
자타공인(自他共認):잘잘못을 가리지 않고 모두가 인정함.
자포자기(自暴自棄):항상 불만이 있어 몸가짐이나 행동을 마구함.
장교미인:키가 크고 아름다운 여자.
적반하장(賊反荷杖):잘못한 사람이 도리어 잘한 사람을 나물함.
적자생존(適者生存):자연도태의 현상을 일컫는 말.
전생연분:전생에서 이미 맺은 연분.
전화위복(轉禍爲福):화가 바뀌어서 도리어 복이 됨.
전후좌우:앞 뒤쪽과 좌우의 쪽.
정당방위(正當防衛):남의 불법행위에 자기 또는 남의 권리를 방위하기 위해서 부득이 행하여진 가해 행위. 형법상의 범죄 불성립의 이유가 되며 민법상 손해 배상의 책임을 지지 않음.
정정당당(正正堂堂):정대하고 떳떳함.
조강지처(糟糠之妻):곤경속에서 구차수러운 생활을 같이하던 아내.
조령모개(朝令暮改):아침에 영(令)을 내리고 저녁에 고침이니, 즉 법령을 자주 고친다는 것.
조삼모사(朝三暮四):송인(宋人)이 원숭이에게 밤을 주는데 아침에는 세 개, 저녁에는 네 개를 준다고 했더니 원숭이들이 성을 내므로 그러면 아침에는 네 개, 저녁에는 세 개를 준다고 했더니 원숭이들이 좋아했다는 고사로서, 사술을 가지고 우인(愚人)을 농락함을 뜻함.
조예(造詣):학문 기예가 깊이 들어갔음을 뜻함.
종횡무진(縱橫無盡):자유자재로 거리낌 없이 마음대로 함.
좌지우지(左之右之):자기 생각대로 다룸. 남을 마음대로 지휘함.
죄송(罪悚)만만:매우 죄스럽고 황송함.
주경야독(晝耕夜讀):낮에는 일하고 공부를 함.
주권재민(主權在民):나라의 주권은 백성에게 있음.
죽마고우(竹馬故友):어릴 때부터 같이 놀며 자란 친구.
중구난방(衆口難防):뭇사람의 입은 다 막기가 어려움.
지리멸렬(支離滅裂):이리 저리 어지럽게 흩어져 갈피를 잡을 수 없음.
지피지기(知彼知己):적과 나의 힘을 자세히 앎.
진수성찬(珍羞盛饌):맛이 좋고 많이 잘 차린 음식.
진퇴양난(進退兩難):나아가지도 물러서지도 못함. 입장이 난처함.
책인즉명:제 허물을 돌보지 않고 남의 잘못만을 나무람.
천인공노(天人共怒):하늘과 땅이 함께 분노 한다는 뜻.
천생연분(天生緣分):하늘이 맺어준 깊은 연분.
천신만고(千辛萬苦):무한히 애를 씀.
천지신명(天地神明):우주를 다스리는 신령.
천진난만(天眞爛漫):아무런 꾸밈이 없이 타고난 성질 그대로가 언행에 나타남.
천진무구(天眞無垢):아무 흠없이 천진함.
천차만별(千差萬別):여러가지 사물이 모두 차이가 있고 구별이 있음.
천태만상(千態萬象):천차 만별인 상태.
철의장막:소련과 다른나라 사이의 장벽을 풍자한 민주주의 진영의 유행어.
청산유수(靑山流水):막힘없이 말을 잘하는 것의 비유.
추풍낙엽(秋風落葉):가을 바람에 흩어져 떨어지는 낙엽.
출가외인(出嫁外人):시집간 딸은 남과 같다는 뜻.
타산지석(他山之石):타산은 산의 이름. 타산에서 나온 돌은 질이 좋지 못하고 보기에도 흉하다. 그러나 그 돌에다가 玉을 갈면 아름답게 된다는 것. 이와같이 착하지 못한 악인도 그를 거울삼아 자기의 수양에 도움이 된다는 것에 비유한 말.
태연자약(泰然自若):마음에 무슨 충동을 당하여도 듬직하고 천연스러움.
탁상공론(卓上空論):실천성이 없는 허황된 의논.
탐관오리(貪官汚吏):탐욕이 많고 행실이 깨끗하지 못한 공무원.
토정비결 (土亭秘訣): '토정 이지함'이 지었다는 책으로 한 해의 신수를 보는데 씀.
파란곡절(波瀾曲折):삶 또는 일에 있에서 일어나는 많은 곤란과 변화.
파란만장(波瀾萬丈):사건의 진행에서 일어나는 몹시 심한 기복과 변화.
파란중첩(波瀾重疊):일의 진행에 있어서 온갖 변화와 난관이 많음.
파렴치(破廉恥)한:염치를 모르는 사람.
파안대소(破顔大笑):얼굴을 활짝 펴고 크게 웃음.
파죽지세(破竹之勢):세력이 강하여 막을 수 없는 모양. 또는 그 세력.
팔방미인(八方美人):어느모로 보나 흠이 없이 아름다운 사람.
패가망신(敗家亡身):가산을 없애고 몸을 망침.
평지풍파(平地風波):평지에서 풍파를 일으킴.
표리부동(表裏不同):마음이 음충 맞아서 겉과 속이 다름.
풍비박산:사방으로 날아 흩어짐.
풍수지탄(風樹之嘆):효도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윈 자식의 슬픔.
풍전등화(風前燈火):매우 위급한 자리에 놓여 있음을 일컫는 말.
피해망상(被害妄想):남이 자기에게 해를 입힌다고 생각하는 일.
필문필답(筆問筆答):글로 묻고 글로 대답함
학수고대(鶴首苦待):학의 목처럼 길게 늘여 몹시 기다림.
행운유수:떠 가는 구름과 흘러가는 물.
허송세월(虛送歲月):세월을 헛되게 보냄.
허심탄회(虛心坦懷):마음에 아무런 사념이 없이 솔직한 태도로 일함.
허허실실(虛虛實實):서로 재주와 꾀를 다하여 다툼.
화룡점정(畵龍點睛):벽에 용을 그려놓고 마지막으로 눈동자를 찍었더니 용이 되어서 하늘로 올라갔다는 고사로서 시문(詩文) 등의 일자일구를 잘 놓음으로써 전편이 생동함을 말함이니, 문장의 핵심구를 말함. 또는 사물의 가장 핵심이 되는 것을 말함.


Приложение
статья Я.Е.Пакуловой и Т.А.Новиковой
고사성어-частный случай китайских заимствований в корейском языке. Это устойчивое сочетание иероглифов, которое по многим признакам сходно с фразеологизмом (идиомой) в русском языке с той разницей, что составные элементы коса соно — не слова, а иероглифы, которые и являются в данном случае носителями смысла. Коса соно в полной мере обладают всеми признаками, присущими фразеологизму в его классическом варианте, а именно: метафоричностью, образностью, эмоциональностью, оценочностью, экспрессивностью. Значение же коса соно легко мотивируется как переносное, обычно метафорическое. Как и фразеологизмы в русском языке, коса соно существуют не для называния предметов, признаков, действий, а для образно-эмоциональной их характеристики.Как и фразеологизмы в русском языке, коса соно не представляют собой однородной группы, а довольно отчетливо разделяются на две большие категории. Первая из них — коса соно, общий смысл которых мотивирован значениями входящих в сочетания иероглифов, вторая — идиомы, общий смысл которых на первый взгляд абсолютно не связан со значениями иероглифов, образующих эти сочетания. Причина такой немотивированности значения коса соно кроется в происхождении коса соно, поэтому мы предлагаем обратиться к вопросу об источниках коса соно, по¬скольку именно здесь находиться ключ к пониманию сущ¬ности и специфических черт коса соно, а равно и их места в современной культуре. Коса соно пришли к нам из глубины веков — из памятников китайской классической литературы как канонической, так и неканонической. Среди основных источников иероглифических фразеологизмов следует, безусловно, отметить: «Ши цзин», «Беседы и суждения» Конфуция, «Мэн- цзы», «Чжуан-цзы», «Ши цзи», «Шу цзин», «Дао дэ цзин», «Книга перемен» и т.д. На самом деле «прародителей» коса соно намного больше, и это не только всемирно известные памятники классической литературы, но и различные за¬писки, биографии знаменитых людей, повествования, рассказы и другие произведения китайских литераторов.
Таким образом, за каждым коса соно стоит небольшая история — иногда в форме рассказа, иногда притчи, были или басни. При этом, сами коса соно, оставаясь по сути фразеологическими единствами, в свою очередь распадаются на иероглифически выраженные афоризмы, крылатые выражения, цитаты из высказываний знаменитых людей, которые в процессе многовеков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при¬обретают статус пословиц, т. е. их значение по большей части выражается предложением, которое по логическому содержанию является суждением.
При этом мотивированность или немотивированность значения фразеологизма значениями его составляющих за¬висит от того, какую часть стоящей за фразеологизмом басни он выражает. В тех случаях, когда фразеологизм пред¬ставляет собой иероглифически выраженное краткое содержание басни либо называет ее главных действующих персонажей, переносное значение фразеологизма оказывается никак не мотивировано значениями составляющих его элементов, и для понимания переносного значения коса соно требуется непосредственное обращение либо к словарю коса соно, в котором все фразеологизмы дополнены баснями, либо к словарям, просто разъясняющим значения коса соно без обращения к первоисточникам. В тех же случаях, когда коса соно является иероглифически выраженной моралью басни, переносное значение всего фразеологизма естественным образом легко выводится из суммы значений его составляющих.Следует отметить, что, по сути, коса соно является фразеологизмом заимствованным из китайского языка и используемым на письме как на языке оригинала, т. е. иероглифами, так и корейской азбукой.Однако, поскольку иероглифическое письмо всегда было уделом образованных и обеспеченных слоев общества, т. е. письмом элитным и не доступным широким народным массам, в языке появились фразеологические кальки и полукальки, в которых либо весь фрезологизм, либо его часть переводились с китайского на собственно корейский, при чем, как с сохранением образности, так и без таковой.Тем не менее, следует подчеркнуть, что, несмотря на наличие в корейском языке калек, полукалек и просто синонимичных по значению (и образности) пословиц и поговорок, коса соно остаются неотъемлемой частью современного корейского языка и активно используются как в прессе и литературе, так и в повседневной разговорной речи.

Комментариев нет:

Отправить комментарий